
배우
권겸민
Kwon Kyeom-min
배우가 되고싶은
흘러가는 나그네입니다.
출연작 : 연극
1.갈매기(한태숙 작,연출)
2.꿈소멸 프로젝트
3.부산갈매기
4.미자
5.알려지지 않은 예술가 의 눈물과 자이툰 파스타 외 다수
I am a wandering nomad who aspires to become an actor. Notable Works: 'Seagull' (Written and Directed by Han Tae-suk) 'Dream Disintegration Project' 'Busan Seagull' 'Mija' 'Tears of the Unknown Artist and Zaitun Pasta'
배우
김현빈
Kim Hyun-bin
<구십 구명의 꼬마들과 나눈 대화>
<노랑의 보색은 검정이다>
<지하 6층 앨리스>
<어둠이있어야빛이있잖아요아그렇다고어둠과빛을막구분한다는건아니고오히려그반대로>
‘임시극장’과 ‘기지’에서 공연을 만든다.
I create performances in 'Fitup Theatre' and 'GIJI' "Conversations with Ninety-Nine Little Ones," "Yellow's Complementary Color Is Black," "Alice on the 6th Floor Underground," and "<There Must Be Darkness for There to Be Light, but That Doesn't Mean We Separate Darkness and Light; Rather, Quite the Opposite>."
배우
김현재
Kim Hyun-jae
배우
<어둠이있어야빛이있잖아요아그렇다고어둠과빛을막구분한다는건아니고오히려그반대로>
<나는 거위>
<노랑의 보색은 검정이다>
<곰이 말했다>
<구십구명의 꼬마들과 나눈 대화> 등.
Actrice
Acted in productions including "<There Must Be Darkness for There to Be Light, but That Doesn't Mean We Separate Darkness and Light; Rather, Quite the Opposite>," "<I Am a Goose>," "<Yellow's Complementary Color Is Black>," "<The Bear Spoke>," "<Conversations with Ninety-Nine Little Ones>," and more.
배우
김효진
Kim Hyo-jin
<그로토프스키 트레이닝>
<이것은 사랑이야기가 아니다>
<비타민 P>
<우리는 농담이(아니)야>
<Tribes>
<Grotowski Training>
<This is not a love story>
<Vitamin P>
<We are (not) Joking>
<Tribes>
배우
이유라
Lee Yu-ra
<구십 구명의 꼬마들과 나눈 대화> 2023
<Conversations with Ninety-Nine Little Ones> 2023
배우
장요훈
Jang Yo-hoon
이리의 땅이 있다면, 가고 싶어요. 여러분들과 함께.
If there were the land of IRI, I’d like to go with you guys.
작/연출
최현비
Choi Hyun-bee
2021
<어둠이있어야빛이있잖아요아그렇다고어둠과빛을막구분한다는건아니고오히려그반대로> 연출
2022
<노랑의 보색은 검정이다> 작/연출
2023
<구십 구명의 꼬마들과 나눈 대화> 작/연출
In 2021, directed "<There Must Be Darkness for There to Be Light, but That Doesn't Mean We Separate Darkness and Light; Rather, Quite the Opposite>." In 2022, wrote and directed "<Yellow's Complementary Color Is Black>." In 2023, wrote and directed "<Conversations with Ninety-Nine Little Ones>."
연출부
김수려
Kim Soo-ryeo
가능성. 후회. 선택. 또 다른 결말 만들기.
<노랑의 보색은 검정이다> <큰 가슴의 발레리나> <우리는 내일도 같이 있을 것이다> <여기, 한때, 가가> 등
Possibilities. Regrets. Choice. To make another ending.
<The Complementary Color of Yellow Is Black>
<The Ballerina with the Big Boobs>
<We’ll Be Together Tomorrow>
<Here, Once, Gaga>
연출부
정한별
Jeong Han-byeol
한국예술종합학교 극작과 졸업
Graduated from the Playwriting Department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음악/연주
동녘
Dongnyeok
동녘은 공연, 교육, 연극/영상음악작곡을 하는 싱어송라이터, 인디뮤지션이다. 또한 강사로서 음악수업을 매개로 장애인노동자, 청소년들과 다년간 함께하고 있다. 2021년 EP’상주’로 데뷔하여 현재 ‘전다인밴드’와 ‘이만총총’, 두 개의 밴드에 참여하고 있다. 최근에는 단편영화 ‘퀸의뜨개질(2023)’의 음악감독 겸 프로듀서로 참여했다.
Dongnyeok is a singer-songwriter, independent musician, based on performance/composition for videos and theatre. Also a musical tutor who has been along with teenagers and the disabled for several years. Currently participating in a couple of rock bands that are ‘JeonDain Band’ and ’So, Chon-Chon’. A Music director/producer of the film ‘Queen’s Crochet(2023)’
조명
신동선
Shin Dong-sun
조명하는 신동선입니다.
이 불안한 집. 댄스 네이션. 몬순. 태양. 선택. 앨리스 인 베드. 웰킨. 오아시스. 인간이든 신이든.
당선자 없음. 서울 도심의 개천에서도 작은 발톱수달이 이따끔 목격되곤 합니다.
I am Shin Dong-sun, the lighting designer. This restless house. Dance Nation. Montsoon. Sun. Choice. Alice in Bed. Welkin. Oasis. Whether human or divine. No winners. Even in the small streams of the heart of Seoul, you may occasionally catch a glimpse of tiny otters.
의상
이윤진
Lee Yun-jin
이 작품의 이야기가 잘 전달될 수 있는 색과 질감을 찾기위해 노력했습니다.
I tried my best to find the best color and texture for this script.
의상어시스턴트
방예원
Bang Ye-won
신화에서 출발한 이야기에 매력을 느꼈고, 의상디자이너와 협력하여 작품에 도움이 되고자 했습니다.
I was attracted by the story coming from mythology and by working together with costume designer, I would like to be a help to this production.
분장
원진주
Won Jin-ju
원진주는 한국예술종합학교 무대미술과에 재학중이며 의상 디자인을 공부하고 있다.
학교 공연과 외부 작업을 통해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하는것을 배우고 있고 이것에 여전히 관심이 많다. 분장 디자인은 처음이지만 재밌게 작업하고 싶습니다. 이리의 땅 화이팅!
Currently studyong costume design a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Learning to maximize visual effects through various performances and external projects, and continues to have a strong interest in this field. While makeup design is new, but excited to work on it. Go, <The Land of IRI>!
그래픽
김나영
Kim Na-young (Nadine)
김나영은 물질과 비물질 사이의 경계를 재해석하여 시각적 언어로 표현하는 작업을 한다. 주로 텍스트, 사물, 신체 안에서 맺어지는 관계를 추적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회화, 미디어, 공간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연극 <이리의 땅>,<구십 구명의 꼬마들과 나눈 대화>, <수면 Der Schlaf> 등의 그래픽 디자인을 진행했다.
Nayoung Kim works to reinterpret the boundary between material and immaterial things and express it through visual language. Focus on creating new images by tracing relationships within texts, objects, and bodies. Working with various materials such as painting, media, and space.
Graphic design for the plays <The Land of IRI> <Conversations with 99 Kids>, and <Der Schlaf>.
무대감독
이라임
Lee Lime
무대감독
stage manager
무대감독보
박승훤
Park Seung-hwon
연극 <마리를 위한 아주 사소한 결정>, <붕붕> 무용공연 <단편zip>, <피어나는 희망들> 외 다수 무대감독
Stage manager. <A Very Minor Decision for Marie>," "<Buzz Buzz>," and "<Blossoming Hopes>," as well as dance performances like "<Short Story Zip>."
음향감독
이규원 (큐원사운드랩)
Lee Kyou-won
이규원은 라이브 사운드, 음반녹음, 동시녹음, 믹싱, 마스터링, 이머시브 오디오 등 음향 분야의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음향감독이다. 그는 클래식, 뮤지컬, 재즈, 국악, 밴드 등 장르를 불문하고 다방면으로 활동하며, "기술로 감동을 전합니다" 라는 신조를 가지고 음향회사 '큐1 사운드랩'을 운영하고 있다.
Lee Kyou-won is an sound director who engages in various tasks within the field of sound, including live sound, recording for albums, simultaneous recording, mixing, mastering, immersive audio, and more. He works across multiple genres, including classical, musicals, jazz, traditional Korean music, and bands, adhering to the motto, "Delivering emotions through technology." He also operates the audio company 'Q1 Sound Lab.'
기획
손서정
Son Seo-jung
음악과 공연예술을 기반으로 작업하는 싱어송라이터, 기획자이다 . 들려오는 이야기를 메시지로 바꾸는 데에 관심이 많다. 눈 없는 고양이 마네와 함께 산다.
Sing-a-Song writer and Producer who creates works based on Music and Performing Arts. Interested in translating the stories I hear into messages. Living with blind cat named Manet.
기획보조
문채영
Moon Chae-young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예술경영 전공 중이다. 해질녘 풍경 속 나무와 자전거를 사랑한다. 다양한 형태의 예술이 머물다 갈 수 있는 아트스케이프(Artscape)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Majoring in Arts Management a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Loves to ride bicycles and listen to music. Dreaming of Artscape creation where various types of art can stay.
조명오퍼레이터
장슬민
Jang Seul-min
해보고 싶은게 많은 마당발. 사람이 좋고 예술이 좋고 이야기가 좋아서 삶이 즐겁다!
I want to try various things. I'm enjoy life because they love people, art, and stories!
음향오퍼레이터
윤수빈
Yoon-Su-bin
'모두가 해방되지 않으면 아무도 해방될 수 없다'고 연극으로 말하기 위해 공부하는 중이다.
I am studying play to convey the message that "no one is emancipated, until everyone is".
플라잉자문
황성탁
Hwang Seong-Tak
창작중심 단디.
Creative Center Dandi.
움직임자문
김용빈
Kim Yong-been
김용빈은 무용, 연극, 미술 퍼포먼스등에서 작업하는 공연예술가이다. ’이것저것 하다보면 어딘가에서 만나지 않을까?‘ 라는 생각으로 다양한 작업에 참여하며 지낸다.
Kim Yongbeen is a dance-based performance artist who works in dance, theatre, and art performance. He participates in various projects with the idea ‘if I do this and that, won’t we meet at somewhere?’
접근성매니징
(주) 조금다른
A Little Different Inc.
조금다른은 소외되고 가려진 이야기들을 세상에 드러내는 일을 합니다.
지구 위의 모두가 자신의 고유한 모습으로 살아갈 수 있는, 지금과는 조금 다른 세상을 꿈꿉니다.
이를 위한 변화 과정이 유쾌하고 재미있기 위해 노력합니다.
It's about revealing stories that are marginalized and hidden to the world.
dream of a world that is a little different from now, where everyone on Earth can live in their own way.
I try to make the process of change pleasant and fun for this.
음성해설 대본 제작
소재용
So Jae-yong
동료들과 조금 다른 주식회사를 창업했다. 문화기획을 바탕으로 장애인식개선교육과 접근성 작업을 해나가고 있다.
I started a little different corporation from my colleagues. Based on cultural planning, we are working on education and accessibility to improve disability awareness.
음성해설 대본 제작
이충현
Lee Chung-hyun
장르와 주제를 넘나들며 활동하는 문화기획자. 문화기획에는 윤리가 필수로 동반되어야 한다고 믿고 있으며, 결과물만이 아닌 그 과정을 잘 만들어내는 것 또한 중요시 여깁니다. 최근 동료들과 '조금다른 주식회사'를 만들어 활발히 활동 중입니다.
A cultural designer who explores various genres and themes. I do believe that ethics should be an essential part of cultural designing, and I also place great importance on the process, not just the outcome. Recently, I've started a company, ‘A Little Different.Inc’ with my friends and we are working on a variety of projects.
자막 제작, 자막 오퍼레이터
한서연
Han Seo-yeon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과 미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예술활동을 하는 작업가, 창작자이다.
Seoyeon Han is a creator and artist who is interested in culture and arts, engage in the arts based on fine art/contemporary art.
수어통역
남진영
Nam Jin-Young
남진영은 이리의 땅에서 수어통역을 맡았다.
Nam Jin-young is a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er for 'The Land of IRI'
수어통역
백수진
Baek Su-jin
<탈피>, <허생처전>, <새빨간스피도> 연극 수어통역 출연
Appeared as a sign language interpreter in the plays <Talpi>, <Heosaengcheojeon>, and <Red Speedo>
수어통역
김보석
Kim Bo-seok
김보석은 이리의 땅에서 수어통역을 맡았다.
Kim Bo-seok is a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er for 'The Land of IRI'
수어통역
이성실
Lee Emma
안녕하세요. 이리의땅 수어통역을 하게된 이성실 입니다. 잘부탁드립니다.
Hello. This is Emma Lee, the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er for the LAnd of IRI. Thank you.
제작
임시극장
Fitup Theatre
<임시극장>은 경계선 위에 있는 존재들의 이야기를 무대에 올립니다. 우리는 결국 허물고, 계속 짓습니다.
<Fitup Theatre> stages the stories of beings on the borderline. We end up tearing it down and keep building.